최 회장 측은 이번임시주총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작성일25-01-22 07:09 조회140회관련링크
본문
최 회장 측은 이번임시주총에서 집중투표제를 도입하고 곧바로임시주총안건 투표를 진행하려 했지만 무산된 것이다.
법원은 그 이유로 '상법 위반'을 들었다.
법원은 "상법상 소수 주주가 집중투표제 도입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정관에서 달리 정하지 않은 경우'여야 하고 이는 정관에 집중투표제 배제.
고려아연 관계자는 “임시주총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경영권 분쟁은 끝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사모펀드인 MBK가 M&A에 나섰다가 후유증에 시달리는 기업은 적지 않다.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대표적이다.
2015년 MBK에 인수된 홈플러스는 한때 흑자를 내기도 했으나, 2021년부터 ‘적자 행진’이다.
이에 따라 이번임시주총에서는 '집중투표제 도입을 위한 정관 변경의 건'은 표결되지만 이사 선임건에서는 집중투표제가 도입되지 않는다.
이밖에 '이사 수 상한', '집행임원제도 도입', '신규 이사 선임' 등이 주요 안건으로 논의된다.
전날 법원의 결정 전까지만 해도 양측은 집중투표제 도입과 관련해.
최 회장 측이 불리한 지분율을 뒤집기 위해 도입하려 했던 집중투표제 안건이 내일(23일)임시 주총에 상정되지 않게 된 겁니다.
7%의 의결권을 가진 MBK 측이임시 주총에서 벌어질 표 대결에서 주도권을 쥘 가능성도 높아졌는데요.
현재 고려아연 이사회는 12명으로, 이중 11명이 최 회장 측.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김상훈 수석부장판사)는 21일 영풍이 고려아연을 상대로 낸임시주총의안상정금지 가처분을 인용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50부(수석부장 김성훈)는 21일 영풍이 고려아연을 상대로 낸임시 주총의안상정금지 가처분을 인용했다.
이번 가처분은 최 회장의 가족회사인 유미개발이 청구한 집중투표 방식의 이사 선임 의안을 23일 고려아연임시 주총안건으로 상정하는 걸 막아 달라는 내용이다.
23일 열리는 고려아연임시 주총에서 집중투표제를 도입한 뒤 곧바로 이사를 선임하려는 최 회장 측의 계획에 제동을 건 것이다.
재판부는 고려아연 정관이 명시적으로 집중투표제를 배제했던 만큼 이를 도입하고 곧바로 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상법상 절차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김상훈 수석부장판사)는 21일 영풍과 MBK파트너스가 신청한임시주총의안상정금지 가처분을 인용했다.
이는 오는 23일 예정된임시주총에서 최윤범 회장 측 유미개발이 요청한 집중투표제 방식의 이사 선임을 막아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인 것이다.
쟁점은 정관에서 집중투표제를.
이번 판결에 대해 재계에서는 최 회장 측이임시 주총에서 불리한 입장이 됐다는 반응이 나온다.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재판장 김상훈)는 21일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에서 집중 투표제로 이사를 뽑는 것은, 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취지의 결정을 내렸다.
현 경영진인 최윤범 회장 측은 작년 12월 10일.
한편, 이날 법원은 영풍·MBK연합이 고려아연을 상대로 낸임시주총의안상정금지 가처분 신청을 일부 받아들였다.
이날 서울중앙지법은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 방식으로 이사를 선임해선 안 된다는 MBK파트너스와 영풍의 의안상정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다.
재판부는 결정문에서 "유미개발이.